암호화폐 OTC 시장, 왜 이렇게 복잡할까?
암호화폐 OTC 시장, 왜 이렇게 복잡할까? 분산된 생태계가 만든 양날의 검 암호화폐 시장은 지금도 실시간으로 변화 중이에요. 전통적인 금융시장에 비해 훨씬 빠르게 움직이고 있죠.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이 시장은 아직도 ‘하나로 모이지 못한’ 상태예요. 현재 전 세계적으로 700개가 넘는 거래소가 존재하고, 그만큼 유동성은 흩어져 있죠. 이게 무슨 의미냐면, 누군가 비트코인을 사고 싶어도, 거래소마다 가격이 다르고, 매수·매도 조건도 제각각이라는 거예요. 이런 상황은 Over-The-Counter(OTC) 거래에 특히 더 큰 영향을 미쳐요. OTC는 중앙화 거래소나 DEX에서의 일반적인 order book 모델이 아니라, 딜러 간 협상을 통해 가격이 정해지는 방식이에요. 즉, quote 기반이죠. 이 방식은 유동성 공급자가 직접 quote를 제공하므로 정해진 가격이 없고, 결국 시장 가격의 일관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어요. 경쟁 vs. 비효율, 시장 분열의 아이러니 시장 분열이 단점만 있는 건 아니에요. 여러 거래소가 서로 경쟁하면서 혁신적인 기능이 나오고 있고, 플랫폼별 수수료나 보상 모델도 차별화되고 있죠. 하지만 문제는 이런 ‘경쟁’이 결국 시장 전체의 유동성을 흩뜨린다는 거예요. 실행 비용이 증가하고, 거래 품질이 낮아지는 건 어쩔 수 없는 부작용이에요. 특히 OTC 영역에서는 이 문제가 더 두드러지게 나타나요. 전통적인 ECN이나 Smart Order Router(SOR)를 도입해서 어느 정도는 해결하려는 시도가 있지만, 여전히 투명성 부족과 후속 정산 이슈는 남아 있어요. 그래서 최근 등장한 것이 하이브리드 실행 모델이에요. 이 방식은 order book 깊이(depth)를 활용하면서도 동시에 Request For Quote(RFQ) 방식도 병행하는 구조예요. 말하자면 quote 기반과 시장 기반의 장점을 합친 거죠. 이에 따라 실행 품질과 유동성 모두를 잡으려는 시도가 늘어나고 있어요. OTC 시장, 유동성이 문제야 커스터디 리스크와 느린 정산 O...